파이널 판타지
파이널 판타지 |
---|
개발사:
Square
이 게임에 포함되어 있는 것: |
그 마지막(final) 판타지. 이 게임을 발매한 이후로 잠깐동안, 스퀘어소프트는 망하고 다시는 그 이름을 들을 수 없을 줄 알았다.
Contents
Sub-Page
Prototype Info (untranslated) |
Prerelease Info (untranslated) |
남겨진 텍스트
미국판에는 메인 스크립트 끝쪽에 초기버전 스크립트가 남아있다.
본문 | 해석 |
---|---|
?…<END> il?…<END> e something… Evil?…<END> disturbed my sleep? I,KARY will not give you the force of FIRE. I shall burn you up with my flames.<END> The FIEND'S ball is taking in all the water. Fo,fo,fo… How foolish of you to challenge me,KRAKEN the FIEND of Water!!<END> There's lightning from the FIEND'S ball… So, you have come this far… I,TIAMAT,the FIEND of Wind shall end your little adventure.<END> What? You can speak Leffeinish?<END> The stone plate is on the floor… You sense something evil<END> |
?…<END> 일?…<END> 어… 악마?…<END> 내 잠을 방해했는가? 나 마릴리스는 너희에게 불의 힘을 주지 않을 것이다. 내 불꽃으로 너희를 태워주지.<END> 이 사천왕의 구(球)는 모든 물을 먹어치우지. 바,바,바… 바보같이 이 물의 사천왕 크라켄에게 도전을 하는가!!<END> 사천왕의 구에 번개가 치는군… 너희는 굉장히 멀리서 왔군… 나, 바람의 사천왕인 티아마트는, 너희들의 하찮은 모험을 끝내주겠다.<END> 뭐? 루페인어(語)를 할 수 있다고?<END> 바닥에 석판이 놓여져 있다… 악마의 기운이 느껴진다<END> |
최종판 대사와 확실히 구분되며, 약간 다르다. 예를 들면, "Leffeinish"는 최종판에서 "Lefeinish"로 바뀌었다. 마릴리스가 불의 힘을 보여주지 않을 것으로 대사가 나와있지만, 최종판에서는 "나 마릴리스는 너희에게 불의 힘을 보여주겠다, 그리고 이 불꽃에 타들어가라!!" 라고 얘기한다. 이는 아마 번역 실수로 보이며 번역가가 후에 수정했으나, 사실 이러한 표현은 원문의 일본어 구(句)와 맞는 표현이었다.
대부분의 텍스트에서, 줄바꿈 문자의 코드가 일본어판에서 쓰이는 01로 되어있다(나머지 미국판 대사에서는 05가 쓰였다).
사용하지 않은 그래픽
이 술집 표지판은 두 버전 모두 마을 그래픽에 존재는 하나, 어떤 타일셋에서도 이 부분을 참고하지 않으며, 어떤 표지판도 최종판 마을 타일셋에서 16x8 크기로 사용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술집 표지판도 표시되지만, 16x16 풀사이즈의 타일 사인을 썼다.
불법복제 방지 루틴
0x3CFCB에서는, 월드 맵에서 다른 맵으로 전환이 되는 동안, 0x37B1A-0x37B34에 있는 인트로 텍스트 "PROGRAMMED BY NASIR"의 체크섬을 확인한다. 만약 바뀐 것이 확인되면, 스택에서 가장 위의 3개 값을 가져와 RTS를 실행하여, 임의의 값을 집어넣어 확실히 게임을 충돌하게 만들어 버린다. 이와 비슷한 루틴은 닥터 마리오에서도 볼 수 있다.
코네리아의 보이지 않는 여성
코네리아 성의 이 지점으로 가면 메시지를 볼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류트를 얻을 수 있다. 이 NPC는 실수로 "방 안에" 있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방 안에 없어서 그녀의 (평범한 여자 마을주민) 스프라이트가 보이지 않는 꼴이 되어버렸다. 이 오류는 일본어판에서도 나타난다. 나중에 나온 리메이크판에서는 "방 안에" 있는 것으로 설정되어있는 것을 고치는 대신, 완전히 없애버렸다.
버전별 차이
해야할 일: 지역별 및 I&II 합본판에서 공통으로 있는 차이점에 대해서 적어주세요. |
미국판에서는 자잘한 수정이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변경점이 파이널 판타지 I&II 합본판 및 그 리메이크들에서도 적용되어 있다.
타이틀 화면
일본어판 | 미국판 |
---|---|
![]() |
![]() |
맵 변화
마지막 던전의 마지막 층은 원래 펜타그램(오각별)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미국판에서는 삼각형으로 바뀌었다. 덧붙여, 랜덤으로 적을 만나는 것이 이 층에서 없어졌는데, 보스캐릭터들의 대사 중에 이 현상을 없앰과 동시에 최종보스 전에 플레이어가 숨을 고를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그래픽 변화
타일셋
일본어판 | 미국판 |
---|---|
![]() |
![]() |
일본어판에 있었던 교회가, 미국판에서는 닌텐도의 종교적 색채를 띤 이미지에 대한 정책으로 인해 의원(醫院)으로 존재한다. 이는 CHR 수준으로 바뀐 것이라서, 미국판에는 십자가에 대한 그래픽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새로운 하트모양 간판은 다른 간판과 팔레트를 공유하게끔 하려고 했던 것 같으나, 팔레트 변경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대부분의 리메이크에서는 지붕의 십자가가 사라졌으나, 첨탑은 그대로 있다.
땅의 동굴 (일본어판) | 땅의 동굴 (미국판) |
---|---|
![]() |
![]() |
얼음 동굴 (일본어판) | 얼음 동굴 (미국판) |
---|---|
![]() |
![]() |
하늘 궁전 (일본어판) | 하늘 궁전 (미국판) |
---|---|
![]() |
![]() |
위 세 타일셋에서 나타나는 십자가와 다윗의 별은 다른 그림으로 바뀌었다.
일본어판 | 미국판 |
---|---|
![]() |
![]() |
일본어판에서 '비홀더'라고 알려진 '눈'은, 던전 앤 드래곤(및 비홀더)에 대한 권리를 가진 TSR과의 저작권 관련 이슈를 피하기 위해 다시 그려졌다. 이러한 변경은 데스 비홀더 및 팬텀에게도 적용되어 있다. 일본어판을 포함한 모든 리메이크 버전에서는 '눈'의 디자인이 채택되었다.
대부분의 아이템의 이름 구별을 쉽게 하기 위해 아이콘을 덧붙였다. 아이템의 풀네임을 영어로 적기에는 공간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후의 파이널 판타지 작품들과는 달리 아이템 이름 끝에 붙였다.
텍스트 색상
일본어판 | 미국판 |
---|---|
![]() |
![]() |
일본어판에는 '장비' 글씨가 베이지색으로, 현재 선택된 옵션은 빨간색으로 강조되어 있다. 미국판에서도 기술적으로는 존재하나 모든 색깔이 흰색으로 통일되어버린 바람에, 구별할 수 없게 되어버렸다. 이는 긴 영어 텍스트와 맞추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전투 자세
몇몇 전투 자세가 분명히 글리치(잘못된 색깔)로 보여 미국판에서는 조금 수정되었는데, 시 트롤에서는 여전히 고쳐지지 않았다.
Battle Formations
Some battle formations were altered for America to fix a small, relatively obscure glitch in which enemies will occasionally display corrupted colors, though this can still happen to Sea Trolls.
Warmech's Rarity
In the Japanese version, Warmech (Death Machine) is in the rarest encounter slot, and Fighter (Dark Fighter) is in the second rarest encounter slot. In the North American version, they were switched.
Missing Fanfare
When you activate the time gate in the Temple of Chaos, the "got key item" fanfare is heard in the Japanese version. For some reason the regular "item found" noise is heard in the North American version instead.
Virtual Console Changes
To do: Grab comparison screens |
The Virtual Console release of the game tones down the bright flashing colors for certain spell animations, and for when initiating and exiting a battle, due to such graphics potentially causing epileptic seizures.
- Pages missing developer references
- Games developed by Square
- Pages missing publisher references
- Games published by Square
- Games published by Nintendo
- Games released in 1987
- Games with unused graphics
- Games with unused text
- Games with regional differences
- Games with anti-piracy methods
- To do
- Final Fantasy series
Cleanup > Pages missing developer references
Cleanup > Pages missing publisher references
Cleanup > To do
Games > Games by content > Games with anti-piracy methods
Games > Games by content > Games with regional differences
Games > Games by content > Games with unused graphics
Games > Games by content > Games with unused text
Games > Games by developer
Games > Games by developer > Games developed by Square Enix > Games developed by Square
Games > Games by publisher > Games published by Nintendo
Games > Games by publisher > Games published by Square Enix > Games published by Square
Games > Games by release date > Games released in 1987
Games > Games by series > Final Fantasy series